에스라서에 나오는 바사 왕들... 역사책에서는 어디쯤에 나오나? 에스라서에 나오는 바사 왕들... 역사책에서는 어디쯤에 나오나? 그때 그 사람들 고레스 보통 고레스 2세라고 불린다. 키루스(Cyrus)라고도 읽혀진다. 몽골로 치면 징기스칸 같은 존재이다. 메대와 바사 지역에 분열된 여러 부족을 하나로 통일하여 메대-바사 제국을 세웠다. 하지만 바사 출신의 본인 대.. 큰숲 맑은 샘/큰숲 구약성경개관 2009.07.14
구원의 완성을 준비하는 회복의 공동체를 향한 메세지, 에스라서 구원의 완성을 준비하는 회복의 공동체를 향한 메세지 에스라서 원래는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한 권? 적어도 15세기가지 모든 히브리 사본에서 에스라-느헤미야서는 한 권이었다. 그런데 중세에 제롬(Jerome)이 라틴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구분하기 시작하더니, 그와 같은 .. 큰숲 맑은 샘/큰숲 구약성경개관 2009.07.13
에스라와 함께 연속해서 읽어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느헤미야 에스라와 함께 연속해서 읽어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느헤미야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함께 읽어야 한다. 적어도 15세기까지 모든 히브리 사본들에서 에스라-느헤미야서는 한권이었다. 물론 이름도 '에스라'였다. 그런데 중세에 제롬(Jerome)이 라틴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 큰숲 맑은 샘/큰숲 구약성경개관 2009.07.13
느헤미야 14장 ■ 느헤미야 14장 '옛날 옛적에'라는 도입과 함께 시작되는 동화들은 대부분 주인공이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 으로 끝을 맺는다. 줄거리에 나오는 역경이 그들이 겪은 처음이자 마지막 불행인양 말이다. 그러나 인생의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 100퍼센트 완벽한 완성도, 역경이 없는 행복.. 큰숲 맑은 샘/큰숲 구약성경개관 2009.07.06
아모스를 통해 본 이스라엘 사회 아모스를 통해 본 이스라엘 사회 뽕나무를 재배해야 했던 목자 아모스는 목자인 동시에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였다. 이 사실만으로도 당시 이스라엘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를 엿볼 수 있다. 개역성경의 '뽕나무'(7:14)는 돌무화과나무이다. 그리고 뽕나무를 재배한다는 것은 돌 무화과나무 열매에 일일이.. 큰숲 맑은 샘/큰숲 구약성경개관 2009.07.03